범위: 책 기준 1장, 2장, 3장
Javascript Runtime
Node는 언어도 아니고 서버도 아닌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하지만 서버 실행에 필요한 런타임을 제공해서 겉으로 보기에는 서버같은,,
다른 runtime bun과 Deno(https://deno.land/)도 존재함. ← 나중에 한번 프로젝트 개발 후에 이걸로 테스트 해보고 싶음.
Typescript는 무조건 Deno??
Bun도 버전은 낮지만 속도는 가장 우수하다고 Bun 홈페이지에 나와있음.
Event-driven
- 이벤트 루프
- 호출된 콜백 함수의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 이벤트 처리를 위한 작업을 반복.
- 백그라운드
- 이벤트 리스너가 대기하는 곳
- 태스크 큐
- 백그라운드에서는 콜백함수를 보냄. 콜백이 줄서있어서 콜백 큐라고도 부름.
호출스택에 함수가 너무 많이 들어가있으면 3초가 지난 후에도 함수가 실행되지 않을 수 있음
setTimeout(함수, 3000) 했을 시
Nonblocking IO
파일 시스템 접근, 네트워크를 통한 작업 등의 IO는 동시에 처리할 수 있음.
Single-thread
- process
- 운영체제에서 할당하는 작업의 단위
- 프로세스 간 메모리 등의 자원 공유 X
- thread
-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 부모 프로세스의 자원을 공유
실제 Node는 여러 쓰레드를 생성하지만 개발자가 제어가능한 것은 하나이기 때문에 싱글 스레드로 여겨짐.
Worker thread는 Node12부터 나왔는데 이 기능을 이용하면 멀티 스레드 사용 가능.
멀티 스레딩은 CPU 작업이 많이 사용될ㄷ 때 사용 → 프로그래밍 어려움
멀티 프로세싱은 I/O 요청이 많을 때 사용 → 비교적 쉬움
서버로서의 노드
I/O 처리를 잘하니 서버에도 적합. 개수는 많지만 크기는 작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데 적합.
이미지나 비디오 처리,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같이 CPU 많이 사용하는 작업으로는 적절하지 않음.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만 C, Rust, Go에 비해 많이 느림.
Promise
Promise.all 대신 Promise.allSettled 사용해야 결과 상태로 어떤것이 reject인지 알 수 있음.
Node16부터는 Promise에 catch를 필수로 사용해야함.
async/await
Promise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방법
const promise1 = Promise.resolve('success1'); const promise2 = Promise.resolve('success2'); (async() => { for await (promise of [promise1, promise2]) { console.log(promise); } })();
Map/Set
Map은 속성들 간의 순서를 보장하고 반복문을 사용할 수 있음. size 메서드를 통해 숫자 알 수 있음.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3. 노드 기능 알아보기
REPL 사용하기
Read Eval Print Loop
CommonJS vs ECMAScript
ECMAScript 모듈이 코드가 간소하고 그 외에는 안되는 기능들이 더 많음.
(Dynamic import 불가능, __filename, __dirname 불가능, index.js 생략 불가능)
ECMAScript에서도 dynamic import가 가능함.
const m1 = await import('./func.mjs'); console.log(m1); const m2 = await import('./var.mjs'); console.log(m2);
노드 내장 객체 알아보기
global
전역 객체이며 생략도 가능
console 객체도 원래는 global.console 이다.
전역 객체라는 점을 이용해 파일 간에 간단한 데이터를 공유할 때 사용하기도 함. ← 남용 금지
console
- console.time(label)
- console.timeEnd와 대응되어 같은 레이블 사이의 시간을 측정
- console.table(배열)
- 배열의 요소로 객체 리터럴을 넣으면 테이블 형식으로 출력
timer
setImmediate(callback), setTimeout(callback, 0)의 차이?
→ 파일 시스템 접근, 네트워킹 같은 I/O 작업의 콜백 함수 안에서 타이머를 호출하는 경우는 setImmediate가 먼저 실행
→ 하지만 항상 그렇지않고 보장되지않음. setImmediate을 더 권장함.
process
실행하는 환경마다 다르겠지만 프로세스 정보 출력 가능.
process.version process.arch process.platform process.pid process.uptime() process.execPath process.cwd() process.cpuUsage()
- process.env
- 시스템의 환경 변수
- process.nextTick(callback)
- 이벤트 루프가 다른 콜백 함수들보다 nextTick의 콜백 함수를 우선으로 처리하도록
- Promise와 함께 microtask라고도 불림
- microtask를 재귀함수로 부르면 먼저 부르기 때문에 중간에 있는 콜백 함수들이 불리지 않을 수 있음.
- process.exit()
- exit node
노드 내장 모듈 사용하기
os
→ 운영체제별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을 때 사용
path
윈도우와 리눅스 경로 차이를 쉽게 해결해줌.
path.join(path, …) vs path.resolve(path, …)
앞에 / 유무에 따라 join은 상대경로로 resolve는 절대경로로 인식.
url
const myURL = new URL('http://www.gilbut.co.kr/?page=1');
WHATWG 기준으로 분석을 해줌.
dns
→ 도메인을 통해 IP나 기타 DNS 정보를 얻고자 할 때
crypto
PBKDF2: salt라는 문자열을 붙이고 반복을 여러번 해 암호화
bcrypt, scrypt를 많이 사용함.
util
util.deprecate를 통해 deprecate될 예정이라고 알려줄 수 있음.
worker_threads: multi-threading
8개를 띄운다고 8배 빨라지지않는다. (매우 잘짜면 가능할수도..? 그것보다 못짜서 느려질 가능성이 매우 높을듯)
postMessage를 통해 부모와 자식과 메시지 주고 받을 수 있다.
child_process: multi-processing
spawn은 새로운 프로세스를 띄우면서 명령어를 실행.
const process = spawn('python', ['test.py']); process.stdout.on('data', function(data) { console.log(data.toString()); });
파일 시스템 접근하기
Promise로 파일 읽고 쓰기 가능
const fs = require('fs'); fs.writeFile('./writeme.txt', 'writing something', err => { if (err) { throw err; } fs.readFile('./writeme.txt', (err, data) => { if (err) { throw err; } console.log(data.toString()); }); });
읽으면 Buffer이기 때문에 toString()으로 변환해줘야한다.
동기 메서드와 비동기 메서드
- 동기와 비동기: 백그라운드 작업 완료 확인 여부
- 블로킹과 논블로킹: 함수가 바로 return되는지 여부
Buffer와 Stream 이해하기
Stream은 동영상같은 용량이 큰것을 chunk로 나눠서 보낼 수 있어 적은 메모리를 통해 큰 파일을 만들수 있다.
기타 fs
fs.access(...) fs.mkdir(...) fs.open(...) fs.rename(...)
스레드 풀
fs외에도 내부적으로 스레드 풀을 사용하는 모듈이 있음.
스레드 풀 개수만큼 작업을 동시에 처리함.
Event
이벤트를 직접 만들수도 있음.
addListener == on
removeListener == off
const EventEmitter = require('events'); const myEvent = new EventEmitter(); myEvent.addListener('event', () => { console.log('event 1'); }); myEvent.on('event2', () => { console.log('event 2'); });
Error handling
에러를 throw하면 노드 프로세스가 멈춤.
throw하는 경우는 반드시 try catch문으로 throw한 에러를 잡아야 함.
process.on('uncaughtException', err => { console.error('uncaught error', err); });
uncaughtException으로 모든 에러를 처리할 수 있을것 같지만 노드 공식 문서에서는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할것을 명시하고 있음.